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통대-국어국문학과 /언어와 의미, 발음교육4

언어와 의미 / 문장의 이해(의미의 유형, 문장의 중의성, 구정보와 신정보, 화행, 함축) 인간의 의사소통 이해를 위하여 인간이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의미 관련 현상 또한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그만큼 언어 연구에 있이 의미가 차지하는 바가 크다는 것이다. 다음은 의미의 유형, 문장의 중의성, 구정보와 신정보, 화행, 함축에 관하여 예를 들고 주제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문장의 이해 1. 의미의 유형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형상은 접근 방식 따라 의미를 다르게 정의한다. 관점을 바꾸어 여러 의미를 유형화한 리치(G. Leech, 1974)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인간이 언어로 소통하는 데 관여하는 의미를 개념적 의미, 연상적 의미, 주제적 의미로 3가지로 대분류하였다. 개념적 의미는 같은 말로 공유하는 의미, 중심 의미, 기본 의미, 외연적 의미, 인지적 의미라고도 한다. 같은 언어를.. 2021. 9. 28.
언어와 의미 / 동음이의어, 유의어, 반의어에 대하여 언어와 의미에 대하여 인간의 소통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의사소통에는 화자, 청자, 기호라는 세 가지를 나란히 놓고 의미를 분석하여야 한다. 근대시대에 이르러 의미를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여 연구하고 있으나, 의미는 눈에 보이는 대상이 아닐뿐더러 의미가 가진 다양성이나 모호함이 늘어 연구함이 어렵고 의미를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의미영역을 한정하여 이 영역에 속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비교하여 의미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어들을 정리하고 기술한다. 단어들 사이의 의미 관계를 드러내거나 문장 차원에서의 의미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을 인지하여 단어들 사이의 여러 의미 관계 중에서 동음이의, 유의, 반의 관계에 속하는 예를 찾아 그 예들이 왜 그 관계에 속하는지 서술하였.. 2021. 9. 24.
소리와 발음 / 우리말 연구 및 이해 우리말 연구 의의 인간의 의사소통은 단순히 이루어진 현상이 결코 아니다. 우리는 말소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 모국어를 힘들여서 습득한 것이 아니라 자연체득하고 살아 온 부분이 크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받아쓰기를 한 것이 고작이다. 읽고 쓰는데 불편함이 없었다. 이후 중, 고등학교, 대학으로까지 조금 더 국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나면 언어의 작은 요소, 요소들이 분류 되어있음을 학문적으로 배울 수 있다.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에 따른 음소를 알고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나는 발음의 차이가 있더라도 동일한 문자의 음성으로 인식한다는 가설은 그런 음소 알고 있어야 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어린아이가 엄마의 입모양과 소리로만 배움을 터득할 때를 떠올려서 어떻게 알게 되는 것일까 의문을.. 2021. 9. 17.
발음교육 / 시청각 장애를 극복한 헬렌 켈러의 삶 소리와 발음이란 사람이라면 태어나서 소리 듣고, 가까운 사람에게서 사물을 부르는 입모양과 음성을 듣고 모방하여 ‘말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사물의 이름은 사회적 약속이라는 것을 암묵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소통하게 된다. 사람은 자라면서 단계적으로 배움을 증진시켜 나간다. 그러나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은 어떻게 말하는 것을 배우게 되는지 깊은 관심이 없는 이상 제대로 알지 못한다. 시각과 청각의 장애를 갖고 음성과 문자를 배우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암흑 속에서 촉각 하나로만 모든 것을 짐작한다. 여기서 후각의 도움은 기억에 도움을 준다는 가정을 해볼 수 있다. 우선 촉각으로 해낼 수 있는 것은 형태의 일부다. 점자를 배우고, 단어를 써볼 수 있다. 보고 말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일들을 처리한다.. 2021. 8. 3.
반응형